비버 Blog > 비버 작성 님의 글

중국 충전기 수입, KC인증 없이 수입하면 어떻게 될까요?

작성자 정보

  • 비버 작성

컨텐츠 정보

본문

안녕하세요, 사입인 비버입니다^_^

 오늘은 사장님들께서 자주 물어보시는 질문 하나로 이야기를 시작해보려 해요.

“충전기요? 그냥 1688에서 저렴한 거 사입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?”

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충전기는 ‘전기제품’ 이기 때문에 무작정 수입하면 큰일 납니다!
통관이 막히거나, KC인증 없이 유통하면 처벌 대상이 될 수도 있어요 ⚠️

오늘 비버가 수입절차 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
1️⃣ 충전기 수입, 무조건 KC인증 대상일까요?
거의 대부분은 KC인증 대상입니다.

※ 왜냐하면 충전기는 ‘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’에 따라 전압 기준 이상이면 인증이 의무거든요.

✅ 인증 대상 예시

✔️ 유선/무선 충전기
✔️ 차량용 충전기
✔️ 어댑터, 변압기
✔️ 멀티포트 충전기 (1:2 이상 연결되는 제품)

 단순 케이블은 제외될 수 있지만, 구조에 따라 다시 인증 대상이 되기도 해요.


2️⃣ KC인증 제품을 다른 제조사로? 그럼 다시 받아야 해요!
“어? 이 충전기는 이미 KC 인증받았던 제품인데요?”

하지만 제조사가 바뀌면 다시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.
KC는 ‘제조사 기준’으로 관리되기 때문이에요.

✅ 제조사가 다르면 = 신규 인증 또는 변경 신고 필요!
모델명만 같다고 안심하시면 안 됩니다❗ ❗



3️⃣ HS CODE는 8504.40, FTA로 관세 혜택까지 받자 ❗

충전기류는 대부분 *HS CODE 8504.40 (정지형 변환기)*으로 분류돼요.

✔️ 기본 관세 8%지만, FTA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면 0.8% 로 낮아질 수 있어요!

※ 꼭 원산지 증명서 요청하세요.
사입인에서는 이 모든 서류를 사전 관세사 협업으로 진행하고 있어요.

4️⃣ KC인증 없이 수입된 충전기? 그건 너무 위험해요 ⚠️

안전이 먼저입니다!
무작정 단가만 보고 들여온 충전기가 불량이거나, 심지어 화재 위험이 있는 경우도 많아요.
전자제품은 ‘작동 여부’보다 ‘안전성’이 더 중요하다는 거, 잊지 마세요!
✔️ KC인증을 받은 제품은 소비자에게도 신뢰를 줄 수 있고, 문제가 생겼을 때도 대처가 훨씬 수월합니다.


✅ 사입인이 도와드릴 수 있는 실제 수입 현장에서 필요한 절차를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합니다!

➤ KC인증 대상 여부 판단
➤ 샘플 테스트 및 공장 확인
➤ OEM 로고 인쇄 가능 여부 체크
➤ HS CODE 및 관세율 확인
➤ FTA 원산지서류 발급


✅ 마무리 정리

충전기 수입, 단가 싸다고 좋은 게 아니에요.
KC인증, 통관 요건, 제조사 정보까지
하나하나 꼼꼼하게 확인하면서 진행해야 안정적인 유통이 가능합니다.


충전기 수입, 지금부터 제대로 시작해볼까요?

✅사입인은 사장님들과 늘 함께하는
든든한 수입 파트너입니다.
중국 공장 소싱부터 KC 인증, 샘플 검수, 통관, 배송까지
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합니다.
사입인 문의게시판에 문의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.

오늘도 수입의 길, 사입인과 함께하세요!^_^
전체 댓글 :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관련자료